건축 용어가 낯선 건축주님들을 위한 꿀팁,
올라의 왕초보 건축주 용어 사전.
건축을 결심하셨다면, 어떤 구조로 건물을 지을까 고민해 보기도 하셨을 텐데요. 그래서 준비한 오늘의 사전! 바로 건축물의 구조 편입니다. 다양한 구조가 있긴 하지만, 실제 건축주님들께서 가장 많이 선택하는 구조 위주로 알려드릴게요.
1. 콘크리트구조
튼튼하고 화재에 강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그만큼 꼼꼼한 구조이다 보니 공사 기간이 다른 구조에 비해 약 2배 정도 긴 편이에요.
① 철근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철근을 넣은 구조입니다.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콘크리트에 철근이 함께 하고, 구부러지기 쉬운 철근에 콘크리트가 함께 함으로써 각각의 결점이 상호보완되죠. 물론 콘크리트의 종류와 철근의 두께, 양에 따라 튼튼한 강도가 달라질 순 있겠지만, 재료의 단점이 보완되며 구조적으로 안정성이 더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②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SRC 구조'라고도 불리는 철근콘크리트와 철골구조의 중간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불에는 잘 견디나 무거운 결점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그에 비해 가볍지만 불에는 취약한 철골. 이 두 가지가 가진 각자의 결점을 상호보완하기 위해 해당 구조가 개발되었어요.
2. 철골구조
다양한 종류의 철강 재료를 이용하는 구조입니다. 보통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통해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이 짧은 것이 장점이에요. 재료의 특성상 내구성은 우수할 수 있으나 부식으로 인한 변형이 쉽고, 단열을 고려했을 때 장점보단 단점이 더 크기 때문에 주거 공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① 경량철골구조
흔히 ‘스틸하우스’라 불리는, 조립식으로 짓기 쉬운 대표적인 구조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비교적 얇은 살을 사용해요. 구조의 주요 부분은 튼튼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뒤틀림이 크지는 않지만, 방음이나 단열, 화재엔 다소 취약한 편입니다.
3. 목구조
나무로 뼈대를 만드는 구조입니다. 콘크리트 구조에 비해선 시공 기간이 짧아요. 아무래도 재료가 재료인 만큼 습기나 해충 등에 의한 손상을 무시할 순 없는데요~ 하지만 습도는 빨아들이고 수분은 내뿜는 재료적 특성으로 인해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는 구조랍니다.
① 경량목구조
목구조 중에서도 얇고 가벼운 나무로 만드는 구조입니다. 벽이 곧 구조물의 뼈대이기에 탁 트인 넓은 창을 내는 것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② 중량목구조
‘중목구조’라고도 불리는 중량목구조는 목구조 중에서도 두껍고 무거운 나무로 만들어요. 기둥과 보를 두꺼운 목재로 지지하는 방식이죠. 중량목구조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자재는 해외를 통해 들여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재료의 비용이 다소 비쌀 수밖에 없겠죠?
4. 조적식구조
건물의 기초나 벽체를 벽돌이나 돌 등으로 쌓아 올려 만드는 구조를 뜻합니다. 전반적으로 시공법이 간단한 편이지만 벽의 두께가 두꺼워져 실내가 좁아질 수 있어요.
① ALC구조
콘크리트의 결점인 무게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경량 기포 콘크리트입니다. 일반 콘크리트보다 4~5배 가볍다고 해요. 단열 또한 콘크리트보다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습기를 머금었다가 뿜는 재료적 특성으로 우리나라의 습한 여름을 견디기엔 곰팡이 등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요.
② 벽돌구조
조적식 구조 중 벽돌과 *모르타르로 쌓아서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입니다.
**모르타르: 시멘트, 모래, 물을 반죽한 것으로 조적을 쌓거나 콘크리트 표면의 마감으로 사용된다
크게 4가지 구조와 각 항목을 살펴보았는데요~
각 구조가 가진 장단점과 건축 예산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구조로 건축을 시작해 보세요. 무엇보다 땅의 위치나 특성 등에 따라서 좌우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설계 시 건축사와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하답니다.
올라의 <건축 용어 사전>은 5편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편으로 돌아오겠습니다!
'건축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적 계산에도 예외가 있다?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건축면적 산정의 예외 편) (0) | 2023.02.24 |
---|---|
건축물의 종류… 대체 몇 개야?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편) (0) | 2023.02.24 |
연면적? 건폐율? 무슨 뜻일까?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건폐율/용적률 편) (0) | 2023.02.24 |
도대체 이게 무슨 뜻이야?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지역/지구/구역 편) (0) | 2023.02.24 |
도대체 이게 무슨 뜻이야?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지목 편) (0)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