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용어가 낯선 건축주님들을 위한 꿀팁,
올라의 왕초보 건축주 용어 사전!
오늘은 다가구주택/다세대주택 건축을 생각하고 계신 건축주님이라면 특히 주목해야 할 내용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건물의 주차 문제로 고민하고 계신 건축주님이라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필로티’인데요. 바닥면적 산정에 제외되기도 하는 부분이다 보니 많은 건축주님께서 관심을 가지고 계실 거예요.
필로티(piloti)는 스위스 태생의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선보이기 시작한 근대 건축 방법의 하나입니다. 단어의 의미로만 보자면, ‘건물 상층을 지탱하는 기둥’을 뜻해요. 건축에서의 필로티는 구조 중 하나로, 보통 ‘필로티 구조’라 칭합니다.
필로티 구조
지상에 기둥이나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설계된 벽 이외에 외벽이나 기타 설비 등을 설치하지 않고 개방시킨 구조. 개방된 지상층은 보행이나 차량 통행, 주차 등의 목적으로 쓰여요. 단 상층부에 건축물이 없는 경우엔 필로티 구조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필로티 구조는 바닥면적에서 제외되기도 하는데요~
총 3가지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① 공간을 사유화하지 않고 공공의 통행이나 차량의 통행에 이용하는 경우
② 거주성이 없는 공공 주차 공간으로 전용되는 경우
③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의 필로티의 경우
필로티 구조의 장점
① 바닥면적의 압박 없이 주차 공간의 확보가 가능합니다.
② 주거를 목적으로 한 건물의 경우 1층을 필로티 구조로 활용하고 2층부터 생활공간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생활 노출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③ 지면과 떨어져 있는 구조로 습기 차단의 효과가 있습니다.
필로티 구조의 단점
① 1층이 곧 주차장 및 공용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2층은 각종 생활 소음에 노출될 확률이 높습니다.
② 1층이 비어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겨울철 2층 상/하수도의 동파 확률이 높습니다.
③ 지진에 취약합니다.
다만, 1층의 기둥이 건물 전체를 관통하며 지탱하는 경우 지진의 위험이 덜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의 필로티가 지진에 취약하다 이야기되는 이유는 1층만 기둥, 그 위에 벽을 쌓아 올린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필로티 구조가 아닌 *필로티 형식일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죠.
*필로티 형식
건축물의 하층부는 필로티 구조, 상층부는 다른 구조형식으로 설계된 건축물을 ‘필로티 형식’이라 통칭합니다.
자, 이렇게 필로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몇 가지의 단점이 있지만, 법적으로 보장받는 주차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너무나 큰 장점이기 때문에 다가구/다세대 주택 건축주님이시라면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는 구조입니다. 필로티 구조를 결정하셨다면 안전까지 보장될 수 있도록 건축사와 더 꼼꼼한 논의가 필요하겠죠?
'건축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막? 썬룸? 가설건축물에 대해 알아보자!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 (0) | 2023.02.27 |
---|---|
대표적인 외장재의 종류와 장단점을 알아보자! 단독주택 건축주라면 필독 : 올라 건축노트 4 (0) | 2023.02.27 |
베란다, 발코니, 테라스의 차이점은 뭘까?!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 (0) | 2023.02.24 |
면적 계산에도 예외가 있다?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바닥면적 산정의 예외 편) (0) | 2023.02.24 |
면적 계산에도 예외가 있다? 왕초보 건축주 꿀팁 : 건축 용어 사전(건축면적 산정의 예외 편) (0) | 2023.02.24 |